목록분류 전체보기 (161)
The idea of approximation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m.ytn.co.kr/news_view.php?s_mcd=0104&key=201506161045223285&pos= IMF "부의 '낙수 효과', 완전히 틀린 논리" 국제통화기금, IMF는 이른바 부의 '낙수 효과'가 완전히 틀린 논리라고 밝혔습니다.낙수 효과란 대기업과 부유층 소득이 늘어나면 투자가 촉진돼 경기가 부양되며, 이로 말미암아 저소득층에도 � m.ytn.co.kr m.seoul.co.kr/news/newsView.php?cp=seoul&id=20141210005010&refer=m.clien.net/service/board/park/14933388?type=recommend OECD “소득 불평등이 경제성장 방해”… 낙수효과 공식 부인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성장론자들의 금과옥조였던 ‘..
https://specialties.bayt.com/en/specialties/q/80347/what-is-the-difference-between-projection-and-forecasting-in-financial-budgets/ 1- First differnce is that Forecasting refers to the reports which are made on factual assumptions, and are most likely to occure. Whereas projections are based on somewhat loose assumptions and these are the figures what management want to sea. So these are mostly,..
https://www.oecd.org/tax/tax-policy/revenue-statistics-highlights-brochure.pdf Eight OECD countries have a federal structure. federal - Australia, Austria, Belgium, Canada, Germany, Mexico, Switzerland, United States
https://unctad.org/en/PublicationChapters/wir2015ch5_en.pdf World Investment Report 2015: Reforming International Investment GovernanceCHAPTER V International Tax and Investment Policy Coherencep185
큰 두 가지 전제. 첫번째 전제는 너의 출발점이 되는 견고하고 확고부동한 믿음이야. 나는 중요하다. 나도 똑같이 중요하다. '~하다면 중요하다'도 아니고 '~하는 한 중요하다'도 아니야. 나도 똑같이 중요하다. 그것으로 끝. 다른 수사 여구는 필요 없어. 두번째 도구는 이 질문이야. OO를 반대로 뒤집어도 똑같은 결과가 나오는가. 예를 들어 남편의 외도에 대해 너가 용서를 하는 것이, 너가 외도를 했을때도 같은 결과가 나온다면, 그건 성불평등의 영향을 받지 않았으니까 페미니스트적인 선택이야. 15가지 제안 1. 충만한 사람이 될 것. 너는 네 일을 사랑하고, 네가 하는 일을 사랑하는 것은 네 아이에게도 굉장한 선물이야. 사람들은 뭐든 자기가 원하는 것을 정당화하고 싶을 때 선택적으로 '전통'이라는 말을 ..
http://geocenter.github.io/StataTraining/
https://thenounproject.com/ https://www.iconfinder.com/free_icons http://www.iconarchive.com/ https://iconmonstr.com/ http://iosicongallery.com/
우선 2016년 정리. 작년에 생각했던 이슈는 자산과세 완화, beps 문제, 어떻게 쓸것이냐 중 기본소득 문제였는데, 화두라고 치기에는 맞은 게 없다. 자산과세는 다소 강화되었고 , beps 문제는 진짜 많은 개편과 논문들이 나왔고, 조세 분야에서는 화두긴 했지만, 내가 본래 한 해의 화두 작업을 꼽는 것과는 약간 다른 느낌이다. 기본소득은... ㅠㅠ 작년에는 최순실 국정농단 사태와 알파고로 인한 인공지능 논의, 그리고 혼술 혼밥(이것도 지난건가...). 정도로 고르고 싶다. 올해 화두도... 작년 말에 생각해놨던 거 이제서야 정리. 사실 하나 빼고 생각이 안나서 지금 그냥 다시 생각해 보고 있다. 이 화두를 선정하는 작업을 할 때에는 다음연도 관련 대통령 연설이나 정부의 발표 자료도 많이 챙겨보는 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