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저작권 (5)
The idea of approximation
듀게에서 어떤 분이 애플의 가장 큰 장점은 도무지 이 기능을 빼도 될까 싶었던 기능을 과감하게 빼버리면서도, 그래서 가끔은 너무 불편한 기능을 가지고 있는 제품이 탄생함에도 불구하고, 소비자들이 가지고 싶게 만들어버리는 그 능력이라고 하던데 일리가 있다고 생각한다. 제품이 소비자들의 기호를 반영하는 것이 아니라 소비자들이 제품에 맞춰야 하는 그 오만함이 시장에 적용되려면 디지털제품이 기능의 통합과 분열을 반복한다고 하더라도, 단순한 필수기능 하나만을 원하는 - 편리함의 시대를 꿰뚫어보는 통찰력이 있기 때문인 것이다. 그런 이유가 회사차원의 전략 상 강점이라면, 전략을 효율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애플사의 전술은 디지털 시대에 걸맞게 대중의 지혜를 믿는다는 것. 그게 애플의 강점이 아닌가 싶다. 현재 애플사는..
이전글: http://www.econoim.com/18 순전히 미국드라마를 보고 싶은 욕심에서만 접근했던 나의 생각은 아직 형성되지 않은 시장을 키워주는 역할을 하는 하는 한, 불법다운로드로 인한 비용에 비해 편익이 클 것이므로 불법다운로드를 허용해야 한다는 것이었다. 특히 우리가 접할 수 있는 드라마가 아니면 어쩌라구? 어쩌라구? 보고 싶은데 어쩌라구? 물론 누구나 예측하듯 불법다운로드를 허용하면 실제 시장이 커진 뒤에도 계속 불법 다운로드가 생기겠지.. 당연히 공짜로 놔둘 수는 없다. 엄연히 부가가치를 생산한 사람에게 보상이 돌아가야 자본주의 사회니깐. 정확히 기억은 안나는데 2월 경에 본 USA에서 나온 정부 보고서 중에서 이런 free share 상품의 배분에 대해 '시장의 자율적인 거래에 기대한..
수익 분배의 경제학-디지털 시대, 합리적인 수익분배 모델을 찾아서 오정석 지음, Seri 연구에세이 Digital 2 어느 산업이든간에 '배분적 효율성을 증대시키고, 생산효율성을 성취할 수 있으며, 공평성 유지에 기여하는 방향으로 합리적으로 결정되어야 한다. 다시말해, 이용의 효율성 제고, 공정경쟁 여건 보장, 다양하고 저렴한 요금의 서비스 제공을 위한 적정 사용료 산정기준의 정립이 중요하다' 라고 말하고 있는데, 어떤 산업이든간에 한계비용당 한계수입이 똑같아 지는 지점에서 서비스 요금이 결정되되, 사업자들간의 협상력(비용조건 포함)에 따라 결정이 된다는 기본적인 원칙을 확인하면서 시장의 현황에 대해 객관적인 사항들을 정리된 형태로 볼 수 있어서 좋았고, 시간 순서대로 잘 Catch up 했다는 느낌이 ..
청림출판 모이제스나임 지음 주제도 신선한 편이었고, 구성도 논리적으로 전개도가 그려질 정도로 잘 짜여진 편이어서 좋았으나, 그걸 훨씬 뛰어넘는 불편함이 두가지 있었으니, 하나는 숫자를 쓸 때 좀 더 신중했으면 좋았을 걸 하는 부분이 여러 군데 있었다는 점, 둘째는 좀 재미없게 쓰여졌다는 점이다. 어떤 수치를 인용할 경우에는 연도나, 어느 지역을 대상으로 했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명시가 많이! 부족한 편이었던 듯(물론 대부분 예상가능했지만, 다시 몇 번 읽어야 하는 경우가 많았다, 예를 '주요 통화당국의 자산이 2004년에 약 20조 달러라는데 도대체 주요 통화당국이 어디냐고-0-;; 그리고 출처좀 적어주지? 자료 출처가 하나도 없어서 신빙성이;;;), 그리고 무기, 마약 이런 건 하나도 모르는 얘기뿐이라 ..
이 글을 쓰는 이유는 분노를 금치 못해서이다(분노는 나의 힘 ㅋㅋ). 인터넷을 이해하지 못하고, 시장을 이해하지 못하는 국회에 계시는 분들 때문에 왜 인터넷의 발달이 저해되고 시장의 형성이 방해되는가? 미국드라마 무척 좋아한다. (그중 웨스트윙은 완소 작품. 감동의 눈물이 주룩주룩이다.) 영어 공부도 되고, 주제도 다양하고, 로맨스 분야도 구태의연한 핏줄 얘기 따윈 없으니까. 가장 강점은 '캐릭터 묘사'라고 생각하는데, 누가 '그 주인공은 어떤 성격인데?'라고 물으면 대답하기가 어렵다는 점이다. 한 사람이 일관성을 유지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측면을 가지고 있는 점을 많은 에피소드들을 차곡차곡 치밀하게 잘 보여주는데, 우리나라 드라마의 주인공들은 일관성을 잃어버려서 막장으로 가거나, 아니면 너무 단편적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