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분류 전체보기 (161)
The idea of approximation
drop 이나 keep으로 데이터 셋 전체의 샘플 수를 바꾸지 않고, 일부만 사용해서 분석할 때 if 조건문을 계속 붙이지 않는 방법 1) preserve로 기존 데이터 셋을 저장해놓고 2) keep if ... 로 일부 조건에 맞는 데이터셋을 만들어 분석한 뒤, 3) 분석을 끝내고 restore를 하면 됨 preserve keep if c0000_g>0 estimates clear reg emkepl_g emkrevi1_g othrevi1_g c0004_g c0003_g ngdpr estimates store m_ols xtreg emkepl_g emkrevi1_g othrevi1_g c0004_g c0003_g ngdpr, fe estimates store m_fe xtreg emkepl_g emkr..
이 책은 밀도가 너무 높아서 다 읽고 나서도 어디서부터 소감을 써야하나란 생각이 오래 들었다. 낮에 구입한 책을 새벽 3시까지 읽고 지금 새벽 5시까지 정리해보는 독후감. 이 책이 좋았던 점. (1) 자신의 삶을 객관적으로 수십년 관찰하고 해결 방법을 적극적으로 찾아온 것에 대한 존경심이 들었고 (2) 장애라는 화두를 놓고 그저 정치적으로 올바른 입장을 고수하는 사람들에게 너가 진짜 어디까지 제대로 생각해봤냐라는 식의 사고실험을 끝까지 몰고가는 깊이에 반했고 (3) 잘못된 삶이라는 것에 대한 정의와 공동체의 범위가 어디까지인지에 대해 생각해보는 계기도 좋았다. (1) 이 책이 정말 좋은 책인 이유는, 책의 시작이 "나를 바라보는 방법"에서 시작한다는 것이다. 수많은 사람들의 시선과 사회화 경험이 농축된,..
보고의 기준은 두 가지이다. 1. 상대방의 결정에 영향을 주는가? yes - 급한 보고 no - 급하지 않은 보고 2. 상대방의 지시를 받으면 나의 행동이 바뀌는가? yes - 해야 함 no - 안해도 됨 보고하는 방법은? 라는 책 혹은 이 분의 유투브 추천합니다. 그래도 내 언어로 몇 개만 정리해두면, 1. 결론부터 이야기합니다. 2. 말하고 싶은 것 첫째, 둘째, 셋째, 이렇게 구조화를 합니다. 3. 문제점을 말하고, 해결책 2개 이상, 그 중에 내 선택까지 같이 말합니다. 이것은 문제를 키우지 않기 위한 목적임.
최근 미국이 아프가니스탄에서 철수하면서 미국의 헤게모니가 약해진 것에 대한 충격이 큰 것으로 보인다. 이와 관련한 시리즈 및 일련의 글들을 읽어보았다. https://www.economist.com/future-of-american-power https://www.economist.com/by-invitation/2021/08/25/henry-kissinger-on-why-america-failed-in-afghanistan (헨리 키신저) https://www.economist.com/by-invitation/2021/08/24/anne-marie-slaughter-on-why-americas-diversity-is-its-strength (앤마리 슬로터) https://www.economist.com..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