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외부효과 (2)
The idea of approximation
* 요약 번역, 오역 가능성 있음. the price of entry.(6/26/2010, the economist, economics focus) 독일 이민자의 70%가 워킹비자인 반면, 기회의 땅인 미국은 5.6%가 워킹비자다. 나머지는 다 기존의 가족 때문에 오는 거다. 대부분 사람들은 자기들 능력보다 더 부자인 나라로 이동하고 싶어한다. Gary Becker는 6/17일 런던의 Institute of Economic Affairs 강의에서 시장메커니즘을 사용한 해결방안을 내놨다. 정부가 이주할 수 있는 권리를 바람직한 이민자 수가 나올 때까지의 적정 가격에 팔거나, 이민 비자를 경매에 붙이는 것이다. 그러면 어떤 가격이든 그 가격을 누리고도 오고싶어하는 사람들이 올거고, 정부는 노동시장 상황에 맞..
최근 article 몇 개 요약번역. 오역있을 수 있음. http://www.project-syndicate.org/commentary/roubini21/English 루비니, the Risky Rich, 2010.1.18. 원래 국가 파산 위험은 개도국에서 많았지만, 최근 금융위기 등으로 인해 선진국에서 더 큰 문제가 되고 있다. 경제회복이 약하고, 인구 고령화의 문제점이 큰 선진국(미국)에서 재정적자의 통화증발이 패턴화되고 있다. 이것은 재정을 약하게 하고, 인플레이션 기대를 상승시켜서 장기 정부채권 이자율을 상승시키고 구축효과를 가져온다. 특히, 미국은 하반기 11월 중간투표라는 정치적 제약에 직면해 있는데, 이 때 공화당이 선거에서 이기면 통화증발이 상대적으로 선택하기 쉬운 정치적 수단이 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