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The idea of approximation
실업과 지구온난화 본문
http://vox.cepr.org/index.php?q=node/5423
환경에 대한 관심은 사치재인가? 이 칼럼은 "실업"과 "지구 온난화"에 대한 구글 검색결과 데이터를 보여준다. 경기침체는 기후변화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을 줄이고, 실업에 대한 관심을 증가시킨다.
google insights는 특정 지역에서 시간의 변화에 따른 구글 서치 활동을 추적하여 보여주는 구글의 공식적인 온라인 툴이다. 최근 연구들은 구글 검색 용어들이 public health epidemics 예측과 economic activity를 예측하는데 가장 강력한 도구라는 것을 보여준다. 현재 거시경제상황에서, (대공황 이후 미국에서 가장 큰 경기침체의 시작은 2007년 말), 이 도구는 경기 사이클과 공공의견 사이의 관계를 연구하는 수단을 제공한다.
특히, 미국에서는 환경관련 문제에 대한 공공의 관심이 잠재적으로 부식당했다.
경기후퇴는 환경에 대한 공공의 관심에 어디까지 영향을 미쳤을까?
최근 연구(Kahn and Kotchen 2010)에서, 우리는 경기 사이클이 그날 headline environmental issue에 대한 관심에 영향을 주는 게 어떻게 변화했는지 조사하기 위해서 공공의견의 수단으로 구글 서치 데이터를 활용했다. 구글 인사이트로부터 나온 데이터를 활용해서 우리는 2004년 1월부터 2010년 2월 사이의 키워드로 이루어진 주간 데이터베이스를 만들었는데, 이건 "지구 온난화"와 "실업"이라는 용어에 대한 검색결과들이었다. 그리고 나서 우리는 다음과 같이 질문했다: 주의 실업률의 변화가 이 두 키워드들에 대한 인터넷 검색 활동에 영향을 미치는가?
우리는 더 높은 실업률이 지구온난화에 대한 인터넷 검색 활동을 감소시키고, 실업에 대한 검색활동은 증가시킨다는 것을 발견했다. 지구 온난화에 대한 관심에 대한 현시선호에 기반하여, 경기후퇴가 환경에 대한 관심을 구축한다는 것을 알수 있다. 실업률에 대한 관심을 증가시키는 것은 별로 놀랍지 않은 반면. 흥미롭게도, 반대 부호를 가짐에도 불구하고 두 가지 효과의 규모는 매우 비슷했다. 이것은 최소한 하나가 다른 하나를 구축한다는 notion과 일관성이 있다.
붉은 주와 파란 주
미국에서 환경문제에 관한 이슈에서 "붉은 주"와 "파란 주"로 나누어 ideological divide 하는 것은 잘 알려진 것이다. 우리는 또한 주 실업률과 구글 서치 사이의 관계에 각 주의 전반적인 정치적 이데올로기가 영향을 얼마나 미쳤는지 살펴보았다. 우리는 추가적으로 각 주에서 2004년 대통령 선거에서 존 케리에 대한 (민주당) 투표 비중 데이터를 모았다. 더 민주당에 가까울수록 지구온난화 검색 감소가 더 컸다. 그러나 실업 검색의 증가는 작았다. 한가지 가능한 설명은 기후에 대한 공화당의 관심은 단지 더 낮고, 덜 가변적이라는 것이다
실업과 기후변화 부인
... 우리는 각 주의 실업률 증가는 주민들이 지구변화가 일어나고 있다는 것을 생각할 가능성을 감소시킨다는 것을 알아냈다. 높은 실업률은 또한 지구온난화를 줄이기 위한 목적의 정책들에도 덜 관심을 기울이게 한다. 이러한 결과를 설명할 수 있는 매커니즘이 있는가? 심리학적 관점에서 보면, 이 이론은 Maslow의 욕구이론과 일관성이 있다. 이것은 환경에 대한 관심을 사치재로 설명하는 경제학적 설명과 가깝다. The media is also likely to play an inportant causal and/or reinforcing role.
a diminishing political will
높은 실업률은 환경에 대한 공공의 관심을 줄인다. 우리의 연구결과는 후퇴의 비용에 대한 문헌이라는 기여가 있다. 거시경제학자들은 후퇴의 비용에 강조를 두는 반면, 과거 연구결과들은 그러한 슬럼프/경기침체가 경제활동의 감소가 오염수준을 낮추는 것을 도울 것이라는 'green silver lining'을 제공하는 것에 대해 논쟁해왔다.
그러나 우리 연구는 반대효과에 주목하고 있다. 경기침체동안 새로운 환경 입법을 시행하는, 그리고 외부효과를 내부화히기 위한 법을 시행하는 정치적 의지와 관심이 줄어든다.
*********************
경기침체는 환경오염을 줄이지만, 환경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을 동시에 떨어뜨리기 때문에 환경에 대한 정책에 대한 요구가 낮아지고 그래서 환경에 대한 비용을 증가시킨다.
환경에 대한 관심은 사치재인가? 이 칼럼은 "실업"과 "지구 온난화"에 대한 구글 검색결과 데이터를 보여준다. 경기침체는 기후변화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을 줄이고, 실업에 대한 관심을 증가시킨다.
google insights는 특정 지역에서 시간의 변화에 따른 구글 서치 활동을 추적하여 보여주는 구글의 공식적인 온라인 툴이다. 최근 연구들은 구글 검색 용어들이 public health epidemics 예측과 economic activity를 예측하는데 가장 강력한 도구라는 것을 보여준다. 현재 거시경제상황에서, (대공황 이후 미국에서 가장 큰 경기침체의 시작은 2007년 말), 이 도구는 경기 사이클과 공공의견 사이의 관계를 연구하는 수단을 제공한다.
특히, 미국에서는 환경관련 문제에 대한 공공의 관심이 잠재적으로 부식당했다.
경기후퇴는 환경에 대한 공공의 관심에 어디까지 영향을 미쳤을까?
최근 연구(Kahn and Kotchen 2010)에서, 우리는 경기 사이클이 그날 headline environmental issue에 대한 관심에 영향을 주는 게 어떻게 변화했는지 조사하기 위해서 공공의견의 수단으로 구글 서치 데이터를 활용했다. 구글 인사이트로부터 나온 데이터를 활용해서 우리는 2004년 1월부터 2010년 2월 사이의 키워드로 이루어진 주간 데이터베이스를 만들었는데, 이건 "지구 온난화"와 "실업"이라는 용어에 대한 검색결과들이었다. 그리고 나서 우리는 다음과 같이 질문했다: 주의 실업률의 변화가 이 두 키워드들에 대한 인터넷 검색 활동에 영향을 미치는가?
우리는 더 높은 실업률이 지구온난화에 대한 인터넷 검색 활동을 감소시키고, 실업에 대한 검색활동은 증가시킨다는 것을 발견했다. 지구 온난화에 대한 관심에 대한 현시선호에 기반하여, 경기후퇴가 환경에 대한 관심을 구축한다는 것을 알수 있다. 실업률에 대한 관심을 증가시키는 것은 별로 놀랍지 않은 반면. 흥미롭게도, 반대 부호를 가짐에도 불구하고 두 가지 효과의 규모는 매우 비슷했다. 이것은 최소한 하나가 다른 하나를 구축한다는 notion과 일관성이 있다.
붉은 주와 파란 주
미국에서 환경문제에 관한 이슈에서 "붉은 주"와 "파란 주"로 나누어 ideological divide 하는 것은 잘 알려진 것이다. 우리는 또한 주 실업률과 구글 서치 사이의 관계에 각 주의 전반적인 정치적 이데올로기가 영향을 얼마나 미쳤는지 살펴보았다. 우리는 추가적으로 각 주에서 2004년 대통령 선거에서 존 케리에 대한 (민주당) 투표 비중 데이터를 모았다. 더 민주당에 가까울수록 지구온난화 검색 감소가 더 컸다. 그러나 실업 검색의 증가는 작았다. 한가지 가능한 설명은 기후에 대한 공화당의 관심은 단지 더 낮고, 덜 가변적이라는 것이다
실업과 기후변화 부인
... 우리는 각 주의 실업률 증가는 주민들이 지구변화가 일어나고 있다는 것을 생각할 가능성을 감소시킨다는 것을 알아냈다. 높은 실업률은 또한 지구온난화를 줄이기 위한 목적의 정책들에도 덜 관심을 기울이게 한다. 이러한 결과를 설명할 수 있는 매커니즘이 있는가? 심리학적 관점에서 보면, 이 이론은 Maslow의 욕구이론과 일관성이 있다. 이것은 환경에 대한 관심을 사치재로 설명하는 경제학적 설명과 가깝다. The media is also likely to play an inportant causal and/or reinforcing role.
a diminishing political will
높은 실업률은 환경에 대한 공공의 관심을 줄인다. 우리의 연구결과는 후퇴의 비용에 대한 문헌이라는 기여가 있다. 거시경제학자들은 후퇴의 비용에 강조를 두는 반면, 과거 연구결과들은 그러한 슬럼프/경기침체가 경제활동의 감소가 오염수준을 낮추는 것을 도울 것이라는 'green silver lining'을 제공하는 것에 대해 논쟁해왔다.
그러나 우리 연구는 반대효과에 주목하고 있다. 경기침체동안 새로운 환경 입법을 시행하는, 그리고 외부효과를 내부화히기 위한 법을 시행하는 정치적 의지와 관심이 줄어든다.
*********************
경기침체는 환경오염을 줄이지만, 환경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을 동시에 떨어뜨리기 때문에 환경에 대한 정책에 대한 요구가 낮아지고 그래서 환경에 대한 비용을 증가시킨다.